티스토리 뷰
삼성 페이 카카오 뱅크 등록불가, 교통카드 혜택, 대중교통 캐시백 지금 확인하세요
@이쁘니@ 2025. 9. 1. 12:05
최근 모바일 결제와 교통카드 기능을 한 번에 이용하려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삼성 페이 카카오 뱅크 조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가능한 기능과 한계, 그리고 대체 방법에 대해 정확히 알고 계신 분은 의외로 적습니다. 오늘은 삼성페이와 카카오뱅크 K패스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등록 과정에서 주의할 점을 속 시원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삼성페이 K패스 등록이란?
삼성페이 K패스 등록은 모바일 기기에서 교통카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 관리 시스템(국토부, 도로공사)에 카드를 등록하는 절차입니다. 이를 통해 대중교통 요금 할인, 고속도로 하이패스 연계, 정기권 사용 등이 가능해집니다. 등록 대상은 국민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카드 등이며, 삼성페이 앱에서 K패스를 연동하고 카드사 등록을 마쳐야 사용 가능합니다. 삼성페이 공식 지원센터 바로가기

삼성 페이 카카오 뱅크 등록 가능 여부
2025년 2월 23일 기준, 카카오뱅크 K-패스 프렌즈 체크카드는 삼성페이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삼성페이 교통카드 기능은 일부 카드사만 지원하는데, 카카오뱅크는 현재 해당 목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NFC 기반 결제는 불가하며, 실물 카드로만 버스·지하철 단말기에 태그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K패스 카드 사용 방법 및 혜택
카카오뱅크 K-패스 카드는 실물 체크카드 형태로, 후불 교통카드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버스, 지하철 등에서 바로 태그 가능하며 일반 체크카드처럼 결제할 수도 있습니다.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 시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20% 캐시백 - 월 5만 원 이상 교통비 사용 시 추가 4천 원 캐시백 (전월 실적 조건 충족 시) - 편의점, 카페, 배달앱 등 생활 가맹점 최대 20% 캐시백 - 일부 온라인 쇼핑몰 추가 혜택

카드사별 K패스 등록 비교
삼성페이와 연동할 수 있는 카드사별 등록 방식과 지원 여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카드사 |
앱 등록 필요 여부 |
교통카드 기능 |
비고 |
KB국민카드 |
불필요 |
삼성페이 내 설정 가능 |
가장 간편 |
신한카드 |
신한플레이 앱 필요 |
앱 내 사전 설정 필수 |
설정 누락 주의 |
우리카드 |
WON카드 앱 필요 |
카드별 상이 |
앱 설정 필수 |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 |
불필요 |
교통기능 포함 카드만 가능 |
발급 시 확인 필요 |

카카오뱅크 카드는 발급 시 교통기능 포함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현재 삼성페이 연동은 불가합니다. 카카오페이 고객센터 바로가기

등록 실패 시 점검 사항
만약 삼성 페이 카카오 뱅크 조합이 아닌 다른 카드로 K패스를 등록하려는데 실패한다면 아래 사항을 확인하세요. 1. NFC 기능이 켜져 있는지 2. 카드에 교통기능이 포함되어 있는지 3. 삼성페이 앱이 최신 버전인지 4. 해당 카드가 K패스 지원 카드인지 5. 동일 카드를 다른 기기에서 사용 중인지(한 기기만 가능)

정리하자면, 현재 카카오뱅크 K-패스 카드는 삼성페이 등록이 불가능하며, 실물 카드로만 교통 이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대중교통 20% 캐시백과 추가 4천 원 페이백 등 혜택이 커서 대중교통 이용이 잦은 분들에게 여전히 매력적인 카드입니다. 삼성 페이 카카오 뱅크 조합을 원하신다면, 향후 지원 여부 변화를 주시하며 현시점에서는 실물 카드 중심으로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